많은 청소년들이 안고 있는 고민 중 하나는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할지, 나의 꿈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일 것입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기이해, 직업정보 탐색, 직업체험활동 등을 통해 차근차근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직업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 것도 필요합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4,56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직업에 대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선생님, 의사, 연예인을 많은 학생들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만 개가 넘는 직업들 중에서도, 특히 잘 알려지고 안정적인 일부 직업만 선호되고 있는 것입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여러 직업들이 사라지고, 기술ㆍ인구ㆍ교육 등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직업들도 다수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선망받던 직업들은 다른 직업으로..
제 꿈은 OECD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일하며 개발도상국들을 도와 국제사회를 발전시키는 것인데 국제기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국제사회를 발전시키고 싶다는 OO님, 그 꿈을 위해 국제기구의 직원이 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멋있어요. 그럼 국제기구 직원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OECD와 같은 국제기구에 근무하기 위해 젊은 청년들은 다음과 같이 준비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 첫째, 국제기구 인턴십에 지원하는 것, 둘째, JPO(Junior Professional Officer)에 지원하는 것, 셋째, JPO와 유사한 YPP(Young Professional Program)에 지원하는 것이에요. 이는 모두 관련기관에서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초등학교 5학년 여학생입니다. 공부를 잘하진 않는데, 하고 싶은 것도 없어요. 꿈은 어떻게 하면 가질 수 있을까요? 자신의 꿈에 대해 좀 더 차분히 생각하고 차근차근 경험을 쌓아간다면 꿈이 그렇게 멀리 있지는 않답니다. 그러면 꿈이 무엇일까요? ‘무엇이 되고 싶다’, ‘무엇을 하면 좋겠다.’ 등 아직 해보지 않았지만, 잘 할 수 있을 것 같고, 그와 관련된 것을 생각만 해도 즐겁고 빨리 시도해보고 싶은 마음을 꿈이라고 부를 수 있어요. 평소 TV를 보거나 선생님의 이야기를 들을 때 관심이 가고 마음 설레게 하는 것이 있다면 그 것이 나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답니다. 나의 흥미와 재능이 잘 발휘되는 영역에서 나의 꿈이 자라나는 거예요. 무엇을 좋아하는지 찾아보세요. 그것이 직업, 학교공부 ..
정보화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요즘, 컴퓨터망을 이용하여 국가의 중요 데이터를 유출시키거나 파괴하는 사이버테러에 대비하여 이를 보호하고 보안기술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국가사이버안전요원입니다.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가위기관리 차원의 대응책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국가정보원 내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국가사이버안전요원들은 모두 이 곳에서 활동하며, 이들은 국가 주요전산망 안전성 여부를 24시간 상시점검하여 사이버공격 징후를 탐지하고, 위험요소가 포착될 경우 각급 기관에 알려 사이버테러를 예방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습니다. 국가사이버안전업무 수행을 위해 국방부, 정보통신부 외에도 각 중앙행정기관, 대검찰청, 경찰청 등과 협력하여 일하며, 사이버테러 발생시에는 유관기관과 합동..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고 글로벌 경쟁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첨단산업기술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경쟁국가에서 개발하고 보유한 첨단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산업스파이와 정보기관들의 활동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소중한 산업기밀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가정보원의 산업보안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국내 산업기밀의 부정한 해외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산업스파이 색출활동과 함께 국내의 기업체와 연구소를 대상으로 산업보안 교육 및 컨설팅을 실시하는 사전예방활동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산업보안전문가들의 하는 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산업스파이 색출활동과 관련하여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세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사실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보다 더 큰 개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란 표현은 ‘인더스트리 4.0’이라고 해서 독일에서 확장된 개념입니다. 지난 호 아디다스의 공장 혁명에서 살펴봤듯이, 독일에서는 산업계와 정부, 대학과 연구소 등이 협력해서 사람의 손길이 별로 필요 없는, 지능형 자동화 공장을 현실화시켰습니다. 이른바 ‘스마트 팩토리(공장)’ 인데요, 좁은 의미에서는 바로 이 ‘공장의 IoT화’를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어떻게 보더라도 4차 산업혁명과 사물인터넷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듯합니다. 사물인터넷이란 말을 한마디로 아주 쉽게 표현하면 ‘사물과 인터..
흥미로운 설문조사가 발표되었습니다. 올해 수능을 준비하고 있는 자녀가 있다면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여 격려와 지지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날씨가 추워지고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다. 입시전문 교육기업 진학사(대표 신원근)가 고3 회원 1809명을 대상으로 수능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전체 응답자 중 계열별로 인문계 학생은 53%(959명), 자연계 학생은 47%(850명)의 비율로 각각 대답했다 먼저, 올해 수능에서 가장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과목이 무엇인지 물었다. 인문계열 학생 959명 중 45%(432명)는 국어, 자연계열 학생 850명 중 39.1%(332명)는 수학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총 1619명(인문계열 858명, 자연계열 761명)이 응답한 설문조..
이제 중학교 3학년이 됩니다. 아직까지도 무엇이 되고 싶다는 정확한 목표가 없어요. 어떨 때는 기자가, 다른 때는 외교관이 되고 싶어요. 이 때문에 심리검사도 실시했지만, 결정이 쉽지 않네요. 그래서 그냥 ○○고등학교를 목표로 공부만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진로목표를 정할 수 있을까요? '○○고 진학을 목표로 그냥 공부만 열심히 하고 있다.'는 얘기에 살짝 미소를 머금었어요. 진로에 대한 고민 속에서도 학업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서 이미 충분히 잘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목표가 더 분명하지 못해서 답답하고 힘들지요? 스티브 잡스의 연설문 일부를 보면, 잡스도 대학 시절에는 갈등과 무지의 시간을 보냈다는 것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있어요. '나는 내가 무엇을 하길 원하는지 알지 못했고, 대..
행복의 조건 행복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관심사이며, 정치ㆍ사회ㆍ문화ㆍ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교육 분야에서도 ‘행복한 교육’을 화두로 다양한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죠. 최근 한국교육고용패널에서 2004년의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9년 동안 지속적으로 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행복을 느끼는 청년의 비율은 장래 희망 직업을 결정한 집단에서는 69.9%, 결정하지 못한 집단에서는 59.9%이며, 구체적인 진로계획을 실천하는 집단에서는 73.1%,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는 58%에 그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며 긍정적인 자아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사람..
미국의 9.11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테러는 과거와 달리 정치적 이념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념적, 종교적, 민족적, 인종적 극단주의를 바탕으로 대중의 심리적 동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의 국제테러단체는 테러의 대상을 기존의 정치인이나 정부기관 시설에 한정하지 않고 이해관계가 없는 민간인이나 일반대중 이용시설까지 확대하는 한편, 그 수법 역시 자살폭탄이나 인질납치 살해 등으로 포악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새로이 대두되는 테러들을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이라 하며, 국가간의 공조를 통해서 대응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비교적 국제테러의 변방으로 여겨졌던 우리나라 역시 더이상 테러의 안정지대가 아닙니다. 경제규모가 커지고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외국인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미국이나 ..
TV나 신문에서 심심치 않게‘국제범죄’라는 용어를 접할 수 있죠? 국제범죄란 주로 마약, 위조화폐, 밀수, 밀입국, 금융범죄 등 2개국 이상이 연계된 범죄를 의미합니다. 이런 국제범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업무를 국가정보원의 국제범죄전문가들이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하는 일을 자세히 살펴보면 크게 네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마약ㆍ위조화폐ㆍ밀수ㆍ밀입국ㆍ금융범죄 등의 국제범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검증하며, 필요에 따라 수사권을 가진 검찰ㆍ경찰 등 유관기관에 수사를 의뢰하여 이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둘째, 일본의 야쿠자, 중국의 삼합회, 러시아 마피아 등 주변국 국제범죄조직의 국내 불법행위와 관련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차단하는 활동을 수행합니다. 셋째, 각국의 정보수사..
방첩전문가는 적대국가 또는 가상의 적대국가에서 우리나라에 대한 간첩활동이나 첩보활동을 무력화(無力化)하고, 중요인물의 납치·암살·테러 행위를 방지하며, 시설이나 물자를 방호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정보가 적대국가 또는 제3국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통제와 관련되는 모든 활동을 담당합니다. 국가정보원에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전개되고 있는 스파이 전쟁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고 국익을 지키기 위해 국내에서 외국의 정보활동을 찾아내어 대응하는 방첩활동을 수행합니다. 방첩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매년 신입 정기채용과 필요시 전문인력 수시채용을 통해 국가정보원에 들어가야 합니다. 정기채용의 경우, 서류전형-필기시험-면접시험의 과정을 거치며, 시험과목은 국가정보적격성검사(NIAT), 논술(한국사)입니다.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