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모집」전형일정 및전형유형별 모집인원] 자세한 내용은 아래 pdf 파일을 참고해 주세요. 다운: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개요 ❖ 일시/장소: 2018. 12. 12.(수) / 국립특수교육원 ❖ 참석대상: 교육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립특수교육원장,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시‧도교육청 진로‧직업교육 담당자(교원), 공단 및 직업재활기관 담당자 등 350여 명 ❖ 주요내용: 2019년 장애학생 일자리사업 설명회 및 2018년 취업지원 우수사례 발표, 특수학교 학교기업 생산품 전시회 등 □ 2019년 3개 부처는 정부의 포용사회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장애학생 취업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관련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 교육부는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18년 7개 교육청에서 ’19년 11개 교육청*으로 확대하여 장애학생의 사회진출 기회를 강화한다. * (’18년) 대구..
지원참고 표는 정말 참고‘만’ 하자.대부분의 수험생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쉬운 입시자료는 지원참고 표다. 자신이 원하는 대학을 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때 요긴하게 쓰이겠지만 이것을 활용할 때는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지원참고 표는 대학별로 전형요소별 반영비율, 수능영역별 반영비율, 가산점 등이 고려돼 있지 않은 단순합산점수로 만든 자료다. 가이드로 활용할 수는 있으나 실제 지원 시 딱 맞는 정답을 제공하는 자료는 아니다. 좀 더 실제적인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대학별 기준에 따라 산출된 대학별 환산점수(수능 영역별 반영비율/가산점 등이 고려된 점수)를 계산해 보고 지원 여부를 세밀하게 따져봐야 한다. 대학별 모집요강 체크, 내 성적을 보고 유·불리를 따져보자.지원참고 표를 통해..
올해 정시에서 수험생들이 주목할 만한 장학제도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학교 자체 선호도와 본인의 성적에 따라 정시 지원카드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비슷한 대학을 두고 고민중이라면 파격적 장학혜택을 제공하는 대학도 주목할 만하다. 4년 전액 장학금은 물론, 다양한 특전을 추가 제공하는 ‘특성장학제도’를 운영하는 경우다. 대학에 따라 기숙사 무료제공, 학업지원비 지급, 대학원 전액장학금, 해외연수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한다. 서울지역 대학 중 정시에서 특성장학을 운영하는 대학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서 공개한 ‘2019 정시모집 특성장학전형 개설 현황(서울)’ 기준 가톨릭대 건국대 광운대 국민대 덕성여대 동국대 동덕여대 성신여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이화여대 중앙대 총신대 한성대 홍익대(서울캠..
8일 입시전문업체 비상교육 입시평가실이 2019학년도 수능 채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 경영대학과 의예과 모두 국ㆍ수ㆍ탐 표준점수 409점을 합격선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수탐 표준점수 합산 총점이고 영어는 1등급 기준이다. 서울대 인문계는 경영대학(409점), 경제(408점), 인문계열(407점), 국어교육(405점), 자연계는 의예(409점), 수리과학(403점), 화학생물공(402점), 전기정보공(401점) 로 분석됐다.연세대 인문계의 경우는 경영(405점), 경제(404점), 행정(403점), 자연계는 의예(408점), 치의예(404점), 화공생명공(399점), 생명공(396점) 으로 합격선을 제시했다.고려대 인문계는 경영대학(405점), 경제(404점), 미디어(403점), 자유전공(402점..
2019 수능 채점 결과에 대해 이치우 비상교육 입시평가실장은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정반대로 국어, 수학, 영어 모두 변별력 높았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지난해 대비 국어 +16점, 수학 가 +3점, 수학 나 +4점으로 올랐고, 영어 1등급자 비율도 지난해 10.03%에서 5.30%로 지난해 대비 절반으로 줄어 최상위권 변별력이 확보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수학 만점자 비율은 수학 가형 +0.29%, 수학 나형이 +0.13%로 지난해보다 늘어 최상위권 변별력은 인문계열 뿐만 아니라 자연계열에서도 국어 영역이 좌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실장은 “지난해 대비 1~2등급 표준점수 등급컷 차이는 1~4점 정도 높아졌기 때문에 정시를 노리는 중상위권 수험생은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수능 활용지표 △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결과 국영수 등 주요 과목이 모두 '불수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관련 지문이 출제됐던 국어영역은 표준점수 150점으로 역대 수능중 가장 높았다.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영어영역도 특히 어려워 1등급 비율이 전년대비 반토막 났다.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 나형은 예년보다 다소 어려운 수준이었다. 한국사는 지난 수능보다 쉽게 출제됐다.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4일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15일 실시한 2019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수험생 성적표는 오는 5일 통지된다. 양길석 수능 채점위원장은 "올 수능은 국영수는 지난해보다 어려웠고, 그 외 영역은 전년도와 유사하거나 다소 쉬웠다"고 평가했다. 올 수능은 국어영역이 특히 어려웠다. 표준점수 ..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11월 15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채점 결과를 12월 5일(수)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 2019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은 530,220명으로 재학생은 399,910명, 졸업생은 130,310명이었다. ◦ 국어 영역 528,595명, 수학 가형 168,512명, 수학 나형 340,733명, 영어 영역 527,025명, 한국사 영역 530,220명, 사회탐구 영역 266,301명, 과학탐구 영역 242,128명,..
수능 성적표가 나온 후 가장 먼저 할 일은 성적표에 찍힌 자신의 점수를 인정하는 것이다. 비록 영역별 점수를 바꿀 수는 없지만 대학별로 적용된 최종 점수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최고의 전략 수립은 부족한 점수를 만회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만든다. 지금부터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영역별 점수를 꼼꼼히 따져 나만의 정시 합격 로드맵을 그려보자. 1단계, 성적 분석을 입체적으로 하라!정시 전략 1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능 성적표의 분석이다. 대학·학과마다 수능 반영 방법이 천차만별이므로 내가 가진 수능 점수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같은 수능 총점이더라도 표준점수, 백분위 등 활용 지표에 따른 유·불리가 있다. 더불어 영역별 가중치나 가산점에 따라 대..
2019학년도 정시 모집인원은 8만 2972명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23.8%를 차지하며, 전년도 9만 2652명과 비교해 9680명 감소했다. 정시 모집인원 중 87.1%인 7만 2251명은 수능 전형으로 선발한다. 정시 원서접수 기간은 12월 29일(토)부터 1월 3일(목)까지 대학별로 3일 이상 실시한다. 원서접수 마감일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서울교대 △부산교대 등 대부분이 1월 3일(목)까지다. 그밖에 △서울대 △경인교대 △춘천교대는 12월 29일(토)부터 12월 31일(월)까지 원서접수를 실시해, 가장 일찍 마감한다. 1월 1일(화) 마감 대학은 전주교대, 1월 2일(수) 마감 대학은 △국..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올해 수능에서 아쉬운 성적을 받은 학생에게도 마지막 남은 선택지가 있다. 정시는 수능 진검승부로 합격여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수능성적 반영 없이 합격자를 선발하는 전형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2019정시에서 수능을 반영하지 않고도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을 운영하는 대학은 연세대(원주) 아주대 대구예대 대신대 우송대 부산대 등이 있다. 특성화고졸재직자나 취업자, 해외고출신 등 일반 수험생이 지원하기 어려운 전형은 제외했다. 실기준비가 필요한 예체능 실기위주 전형도 제외했다. 2019정시에서 수능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선발하는 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올해 수능성적이 아쉬운 학생이라면 수능을 반영하지 않고 학생부 면접으로 선발하는 전형도 연세대(원주)는 ..
올해 정시에서 문이과 교차지원을 가능한 대학은 어디일까. 교차지원이란 인문계열 수험생이 자연계 모집단위에 지원하거나 반대로 자연계열 수험생이 인문 모집단위에 지원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문은 수(나)+사탐, 자연은 수(가)+과탐으로 응시영역을 제한하지만 모집단위 특성에 따라 응시영역을 폭넓게 인정하기도 한다. 최근 융합교육 트렌드와 함께 계열구분이 모호해지면서 교차지원 허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서강대는 지난해 수시에 이어 올해부터 정시에서도 전 계열 교차지원을 전면 허용한다. 자연계 모집단위보다는 인문 모집단위에서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대학이 많다. 서울소재대학을 기준으로 교차지원을 허용하는 대학은 26개교에 달한다. 모집단위에 따라 사/과탐을 모두 허용하거나 수(가/나) 사/과탐을 모두 허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