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심리검사에서 추천 직업으로 ‘경찰관’이 나왔습니다. 저는 승부욕도 강하고, 운동을 좋아해요. 성격은 시원시원해서 처음 만난 사람하고도 금방 친해져요. 이런 것들이 경찰관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엄마가 경찰관은 여자가 하기는 힘들 거라고 반대하시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도 개인적으로 경찰관은 선호하는데 말입니다. 시원시원하고 사람들과 쉽게 사귀는 성격은 어떤 직업을 갖게 되더라도 큰 장점이 될 수 있어요. 게다가 운동을 좋아하고 활달하다고 하니 경찰관이라는 직업도 잘 어울릴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어머니께서는 남자들이 하는 직업이라고 하셨지만 요즘은 남, 여 구분 없이 경찰관에 지원하고 있답니다.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앞서 본인 스스로가 경찰관이 정말 되고 싶은지 생각해보는 것이 ..
□ 비애치료사 갑작스러운 사고로 가족이나 친구를 잃었을 때, 그 슬픔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을 거예요. 때로는 모든 일을 놓고 싶을 정도로 삶의 의욕을 잃고 슬픔에 빠져 지내게 되기도 하지요. 비애치료사는 그런 슬픔에 빠진 사람들이 다시 건강하게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을 해요. 평균적인 가족의 수가 줄어들고 혼자 사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비애치료사는 더욱 중요한 직업이 될 거예요. □ 플로리스트 요즘 들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직업이에요. 같은 꽃이라도 어떻게 장식하느냐에 따라 화려한 분위기를 만들 수도 있고 낭만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어요. 꽃 한 송이로 여러 가지 분위기를 만드는 사람이 바로 플로리스트예요. 생화든 조화든 말린꽃이든 플로리스트의 손을 거치면 멋진 분위기로 새롭게 탄생..
배우가 꿈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입니다. TV에 나오는 드라마를 보면 저도 언제간 TV에 나오겠지 하는 환상을 갖고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의 꿈을 이루려면 지금부터 연기학원을 다녀야할 것 같아 부모님께 말씀드렸더니 반대하시네요.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요? 연기자가 되고 싶은데 부모님께서 반대하시니 고민이 많겠어요. 우선, 부모님께서 연기학원을 반대하시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해요. 요즘은 워낙 가수나 배우 등 연예인을 지망하는 친구들이 많다 보니 내가 연기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부모님은 모를 수도 있답니다. 연기자, 배우라는 직업은 단순히 내가 그 분야에 대해 관심이 있고 원한다고만 해서 되는 일은 아니에요. 끼와 재능, 그리고 연기를 향한 열정과 노력이 필요하지요. 우선, ..
□· 정보보호전문가 집의 자물쇠가 허술하면 도둑이 들기 쉽지요.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보안이 허술하면 해킹을 당할 수도 있고 바이러스가 침입해서 중요한 정보들을 망가뜨릴 수도 있어요. 정보보호전문가는 컴퓨터에 들어있는 정보를 지키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각종 컴퓨터 바이러스의 발생과 해커의 침입에 대비해서 보안정책을 세우고 방화벽을 만들지요. 또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데이터를 복구하는 일을 해요. □ 나무치료사 사람이 아프면 의사가 치료해 주듯 나무가 아프면 나무치료사가 치료를 해 준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나무치료사는 나무가 어떤 병에 걸렸는지 진찰하고 영양제나 항생제를 놓아줍니다. 때로는 썩은 부위를 잘라내기도 해요. 나무는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나무의 색깔과..
중3이 된 여학생입니다. 중1, 중2까지만 해도 꿈이 명확했는데 중3이 되고나서 다시 생각해보니까 제가 왜 그것을 하고 싶었는지, 진짜 제가 원하는 것인지 확신이 없어지더라고요. 목표가 희미해지니 너무 혼란스러워요. 우선, 초조해 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요즘 진로교육이 강화되면서 많은 친구들이 꿈을 가지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것은 좋은 현상이지요. 하지만, 꿈만 가지면 모든 것이 다 이루어지거나 꿈이 없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에요. 꿈은 미래에 자신이 이루고 싶은 것을 찾아가기 위한 나침반일 뿐이에요. 지도나 GPS가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에 나그네는 별을 보고 길을 갔었답니다. 별빛이 희미하거나 구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때에는 길을 헤매기도 했어요. 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8. 11. 15.(목)에 실시되는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습니다. 접수 및 변경 기간: 2018. 8. 23.(목) ~ 9. 7.(금) 접수 장소: 시험지구 교육청(86개) 및 학교 지원자 현황 지원자 증감 내역 ◦ 지원 자격별・성별 현황 - 응시원서 접수 마감 결과, 전년 대비 1,397명 증가한 594,924명이 지원했습니다. - 자격별로는 재학생이 전년 대비 3,237명 증가한 448,111명(75.3%), 졸업생은 2,050명 감소한 135,482명(22.8%),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10명 증가한 11,331명(1.9%)입니다. - 성별로는 남학생이 전년 대비 2,521명 증가한 306,141명(51.5%), 여학생..
□ 나의 기분과 마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시험을 보고나서 성적이 많이 떨어지거나 친구나 가족과 다툼을 하는 등 안 좋은 일로 마음이 우울해질 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우울한 마음은 자신감을 많이 떨어뜨리고, 검사 결과에도 반영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먼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게 우선이겠죠. □ 누구에게나 잘하는 것은 꼭 있습니다. 주변을 잘 살펴보세요. 잘하는 것이 하나도 없는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예를 들면 떠들기를 좋아하는 친구는 개그맨보다 더 재미있게 말해서 친구들이 좋아한다든가, 지각을 자주 하는 어느 친구는 알고 보니 영화에 대한 상식이 풍부하다든가 하는 경험이 있지 않나요? 누구에게나 잘하는 것이 한 가지씩은 있습니다. 다만 잘하는 것을 평소에는 단점으로만 생각하고..
저는 선생님이 꿈이에요. 그런데 주변에서 임용시험에 통과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선생님이 되지 못할 것 같아 자꾸 걱정이 돼요. 이대로 계속 선생님의 꿈을 가지고 준비해야 할까요 우선 교사가 되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걱정부터 하기 보다는 왜 교사가 되고 싶은지, 교사가 나에게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 직업인지 생각해 보세요. 교사라는 직업이 내 적성에 맞는 일이고 꼭 하고 싶은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면 교사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생각해보는 게 좋겠어요. 걱정이 되는 것들 중에는 내가 준비해야만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있고, 내가 고민할 범위를 넘어서는 것들이 있습니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경쟁률, 선발인원 등)은 당장 걱정하기 보다는 시간을 갖고 추이를 살펴보는 것으로 하고, 먼저 내..
자녀가 스스로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 아는 것은 자신을 행복하게 해줄 꿈과 목표를 찾는 발판이 됩니다. 비전을 세우는 것은 자신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입니다. 어떤 직업을 가지겠다는 것뿐만 아니라 이렇게 살아야겠다는 마음도 포함하는 것입니다. 비전은 자신이 가야 할 방향과 목적을 명확하게 해 줍니다. 진로에 목적지가 있다면, 비록 당장은 돌아가더라도 목적지에 가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는 한 언젠가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적지가 없다면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다가 진로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표류하게 될 수 있습니다. 비전은 꼭 거창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선택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비전이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비전이라는 것은 자녀가 스스로..
초등학생이 미래의 목표를 정확하게 정하기란 쉽지 않아요. 아직 수많은 가능성이 숨겨져 있는 시기이기 때문이랍니다. 우선 내가 관심이 가는 것들이 무엇인지 찾는 것에서 부터 꿈을 그려 보세요. 다음의 방법들을 살펴보면서 자신의 꿈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까요? 방법 하나. 기본적인 것, 누구나 다 생각해 볼 수 있는 것들로부터 생각해보세요. 어른이 되면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미래의 내 모습은 어떤 모습이면 좋을지 생각해 보는 거예요. 방법 둘. 책이나 방송 등을 통해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접해 보세요.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 방송 등을 보면 수많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지요. 혹시 나도 저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것도 꿈이 될 수 있어요. 방법 셋. 미래에 하고자 하..
교육부 발표자료입니다. □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 1. 출제의 기본 방향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기초적인 외국어 능력과 한문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출제하였다. ◦ 제2외국어 교과는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중심으로 출제하였다. ◦ 한문 교과는 실용 한자 및 어휘의 이해와 활용 능력,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 하는 능력,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하였다. 2. 출제 범위 출제 범위는 ‘독일어Ⅰ’, ‘프랑스어Ⅰ’, ‘스페인어Ⅰ’, ‘중국어Ⅰ’, ‘일본어Ⅰ’, ‘러시아어Ⅰ’, ‘아랍어Ⅰ’, ‘베트남어Ⅰ’, ‘한문Ⅰ’ 등 9개 선택 과목의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에 맞추었다.제2외국어..
저는 배우의 꿈을 가지고 있는 17살 여학생입니다. 연기를 정식으로 시작하고 연기학원을 다닌 지 2개월가량 되었어요. 문제는 빨리 연기 실력이 늘었으면 좋겠는데 그게 보이지 않는다는 거예요. 제가 연기에 소질이 없는 걸까요? 불안해요. 연기를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한지 두 달 밖에 되지 않았네요. 두 달이면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날 시기는 아직 아니랍니다. 그런데도 연기가 늘지 않는다고 조바심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꿈을 이루고 싶은 마음이 너무 급하기 때문이에요. ‘빨리 실력 있고 인기 있는 연기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너무 크기 때문이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꿈은 원대하게 품지만 그 꿈을 실현시키는 아주 작은 단계들은 하찮게 여기고 무시하기도 해요. 성공한 모습에 비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너무 ..